목록금 (4)
Artgineer_기술 배우는 아티스트

다들 투자 철학은 어떠신가요?무릎에서 사서 어깨에서 판다?저는 결코 일반인들이 무릎에서 사기란 어렵다고 봅니다.어떠한 투자자산이 무릎에 있다는 것은 대중들의 눈 밖에 나 있는.소외된 자산이기 때문입니다.현실에선 "xxx가 엄청 올랐대.", "나도 사볼까?" 하는 순간 이미 무릎 한참 위인 겁니다. 그래서 늘 개미들은 자칫하다가 어깨에서 사서 머리에서 물리곤 합니다. 지금 금은 역대 최고가를 연달아 갱신하며 작년만 해도 1트로이온스당 2400달러를 넘었다고 난리난리 치더만올해 벌써 3300달러를 넘어섰습니다. 제가 3년 전 부터 실물 금과 은 투자를 엄청 강조해왔는데, 그때도 늦은감이 있었으나 수익률로 말하자면 금은 100%가 넘었고 은은 70% 정도입니다. 사실 은도 90%까지 올랐다가 최근 금의 프리미..

이제와서 금의 본질을 깨닫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많은 이들이 금은 평생 우상향할 것이라는 환상을 가지거나, 금은 평생 모아야만 하는 자산이라는 착각을 한다. 금은 가장 본질적인 화폐이자 돈임은 분명하지만, 튤립 사태나 미시시피 버블처럼 과매수와 고평가 위험에서도 자유롭지만은 않다. 나는 더 이상 금을 매수하지 않는다. 이미 2022년 3분기부터 금을 꾸준히 매집해왔기 때문이다. 당시 금값은 1트로이온스당 1700달러대였고, 이후에도 여러 번의 조정이 있었지만 금의 거대상승장이라는 확신이 있었기에 지속적으로 모아왔다. 최근에서야 마지막 매집을 마쳤으며, 내 금 평단가는 2000달러 중반 이하로 형성되었다. 3000달러인 지금 매수하는 이들보다는 1.5배 앞서있기 때문에 내 시드가 1.5배까지..

2022년(금 한 돈 310,000원)부터 금과 은을 꾸준히 모아왔다. 당시 경제 흐름을 보고 미리 대비해야겠다고 생각했고, 아마 나처럼 금과 은을 매집해 온 사람들도 많을 것이다. 이제 중요한 건 언제, 어떻게 팔아야 하느냐다. 금과 은을 모은 이유가 자산 보호든, 투자든 결국 적절한 시점에 정리해야 의미가 있다. 하지만 막상 매도 타이밍을 잡으려면 고민이 많아진다. 가격이 오르면 더 오를 것 같고, 내리면 다시 기회를 잡기 어려울 것 같기 때문이다.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금과 은을 매집했던 사람들이 매도 타이밍을 어떻게 잡아야 할지 이야기해보려 한다.1. 사람들이 금과 은을 찾아 헤맬 때가 신호다금과 은을 매도할 때 가장 쉽게 참고할 수 있는 건 시장 분위기다. 역사적으로 보면, 대중이 금과 은을 사야..

한국조폐공사 골드바 판매 중단, 정말로 단순한 공급 문제인가? 최근 한국조폐공사가 골드바 판매를 갑작스럽게 중단했다. 표면적으로는 "금 원자재 수급의 어려움" 때문이라고 밝혔지만, 이 설명을 그대로 받아들여야 할 이유는 없다. 이 조치는 단순한 공급 문제로 치부할 수 없는 심각한 신호일 가능성이 크다.이번 글에서는 이 사건이 단순한 일시적 조치가 아니라, 금융 시스템 위기의 징후이자 정부의 실물 금 보유 억제 전략일 수 있다는 의견을 알리고자 한다.1. 급격한 금 수요 증가, 과연 우연인가??글로벌 금융 시장의 불확실성 증가로 금 수요가 폭증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단순히 수요 급증 때문이라면, 이처럼 갑작스럽고 전격적인 판매 중단은 설명되지 않는다. 조폐공사의 결정은 명백히 비정상적이다.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