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Rhino3D & Python 💻 (10)
Artgineer_기술 배우는 아티스트

라이노8에서 작업하다 보면, 팀원이나 클라이언트가 Rhino 7 이하 버전만 사용할 수 있는 경우가 있죠.그럴 땐 저장할 때마다 Rhino 7 포맷으로 자동 저장되도록 세팅하면 번거로운 변환 작업 없이 바로 공유할 수 있습니다.오토캐드의 경우엔 설정에서 평상시 내가 몇 버전으로 저장할지 셋팅할 수 있는 반면 라이노는 아직까지도 구조적으로 도입하지 못 하고 있습니다. 파이썬 스크립트로 구성할 수도 없는게, 이미 라이노에서는 Ctrl+S 를 Save라고 못 박아놨기 때문에,프로그래밍으로 이 저장기능을 v7로 저장하도록 바꾸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그치만 오히려 간단한 방법으로 Ctrl+S 입력 시 v7로 바로 저장되게 하는 방법은 존재하는데요, 먼저 옵션 - 키보드로 갑니다. 쭉~ 내리다보면 Ctrl+S ..

라이노 모델링, 처음 막힐 때 나오는 얘기들별거 아닌데도 은근히 자주 겪는 문제들. 1. “치수는 맞췄는데, 왜 안 맞지?”작업 시작할 땐 단위(Unit)부터 확인. mm인지 inch인지 꼭 맞춰야 함.Grid Snap, Ortho, SmartTrack 켜놓고 쓰면 정확도는 자연스럽게 따라온다.뷰포트마다 다르게 보이는 경우는 CPlane이 다를 수도 있음.> 눈으로 대충 맞췄다고 되는 게 아니라, 기능을 써야 편함. 2. “곡면 붙였는데 울퉁불퉁해요”커브 간 연속성부터 점검. G0, G1, G2는 연결 방식의 차이.Loft, Sweep, Blend 같은 기능은 커브 정리 후에 써야 결과가 예쁨.표면 상태 확인은 Zebra 를 활용.> 라이노는 잘 그리는 것보다, 잘 이어주는 게 더 어렵다. 3...

나는 사실 이게 무슨 날인지는 모르겠으나 예시로 건네받은 각도날을 역설계 한 뒤, 변형하여 새로운 날을 탄생 시켰다. 이게 실물 원본. 캘리퍼스로 재면서 + 가공할 부재(목재)를 참고하며 역설계 먼저 진행. 주문내용은 회전축 변경이다. 날 규격은 보존하면서 회전축 변경하면서 몸통도 상황에 맞게 변형 완료. 기계재료나 절삭 역학에 대해 배워본 적이 없어서 맞는진 모르겠다만 일단 형태만 구현했다고 보면 될 듯. 적정 날 각도 이런거 당연히 모르고. 실제 절삭하는 판의 위치가 바뀌어야 맞을 것 같은 느낌스. 왼쪽처럼 생긴 날로 가공 했다간 가운데 태풍의눈마냥 동그란 무늬가 남을것 같음. 생산 들어가게 되면 전문가가 의견을 주겠지 뭐.
수평 줄 자동 분할수직 줄 자동 분할자동 치수 기입을 실행하여 그물 네트 설계 자동화한 동영상입니다.

펜리즈 삼각형을 실제로 출력해보았다. 모델링 툴은 라이노3d현실세계의 3점 투시에 반항하기 위해 임의 사이즈 조절을 해줍니다. 멀리갈수록 크기를 키워줘야 함. 그렇게하면 결과는 이렇게 된다. 이 부분에 왜 두께가 있어야 하는지 의문을 가질 수 있는데완전한 측면애서 보면 사실 사다리꼴이며투시에의해 fake 두께가 보이지 않으면서도 앞에서 보았을때 그림자 지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비로소 완성. stl 파일 필요하신분은 아래 파일을 다운받으시면 됩니다. (바이러스 악성코드 없음....)

위와 같은 형태의 네트를 만들려면 몇 초가 소요될까요? 라이노 사용자의 기술에 따라 짧게는 5분~ 길게는 1시간 그 이상 걸릴 수도 있습니다. 안전에 민감하여 디테일한 부품이 쓰이는 어린이 놀이시설이라면 몇 시간이고 충분히 걸릴 수 있죠. 파이프의 외경, 네트를 구성하는 부속품들의 다양한 규격에 따라서요. 그치만 저러한 뼈대를 이루는 커브만을 "단 몇 초" 만에 그려낼 수 있다면 어떨까요. 설계 시간이 대폭 감소됩니다. 설계 시간 감소는 향후 검수하는데에 좀 더 할애 할 수 있기 때문에 설계 시간 단축은 정말 큰 메리트 입니다. 우선 네트를 구성하기 위한 순서는 1. 수평 줄(Horizontal Line)을 만듭니다.2. 수직 줄(Vertical Line)을 만듭니다.3. 안전기준 합격 여부 검토 입..

만들 도구: 자동 견적 툴. 1. 도구 실행2. 견적 낼 개체를 사용자 지정.3. 개체의 재질을 사용자가 선택.4. 재질, 규격, 무게, 가격 등을 출력. # -*- coding: utf-8 -*-import rhinoscriptsyntax as rsdef calculate_plate_price(): # 재질별 밀도와 가격 정의 materials = { "SUS201": {"density": 7.93, "price_per_kg": 2800}, "SUS304": {"density": 7.93, "price_per_kg": 5500}, "STL": {"density": 7.85, "price_per_kg": 1500}, } # 재질 선택 (리스트박..

미술을 한 평생(기억상 5살 때 부터 그림그리기를 좋아했다) 해보았지만 그림도 마찬가지로 처음에 그릴때 그 당시엔 엄청 뿌듯하고 만족스럽다가 몇 년 지나서 보면, 저거 가지고 엄청 뿌듯해하다니 라는 생각이 들면서 이불킥을 하게 되는데 뭐.. 어찌보면 그만큼 내가 그새 성장을 해버렸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겠지. 이건 좀 봐줄만은 한데, 불필요한 파팅라인을 좀 없애고 프레임을 높게 했다면 좋았을 아쉬운 작품. 고스트 큐브를 본따서 팬텀 큐브라는 이름을 지은 내가 디자인 한 큐브. 섞을 때 모양이 달라지기 때문에 색다른 재미가 있다. 처음으로 자동차를 모델링 해보았던 지프 레니게이드. 며칠 걸렸더라... 매일 꼬박 평균 2시간씩 2주는 그렸던 것 같은데. 아직까지도 SubD 모델링을 할 줄은 모르지만 지금 막..

AR이란 메타버스 기술인 확장현실(AR, MR, VR)의 한 종류이며 확장현실 기술은 AR은 증강현실 MR은 혼합현실 VR은 가상현실 로 구분된다. AR은 현실을 완전 차단하는 VR과 달리, 현실을 기반으로 이미지나 동영상을 입힌 확장 현실이다. 필자는 라이노3d로 큐브를 모델링한 후 키샷으로 큐브를 회전시키는 애니메이션을 만들었다. AR기술에 접목시키기 위해선 애니메이션 자체가 3d모델링으로써 존재해야 하는데, 키샷은 아예 녹화하여 동영상화 시키는 툴이기에 AR 기술을 구현하기에 너무나도 부적합하다. 그치만 크로마키를 활용하면 AR기술처럼 보이게 만들 순 있다. 라이노와 키샷으로 작업한 결과물이다. 우선 실제 동영상을 촬영한 뒤, 라이노로 모델링 한 큐브 3d개체를 키샷으로 불러와 키샷 환경 조명 색을..

제가 사무실에서 사용하고있는 키보드 "사이버보드 터미널"을 모델링, 렌더링 해보았습니다. 사이버보드 특징은 테슬라 사이버트럭의 외형을 오마주하여 독특한 외관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로써 높이조절 기능이 없는데다가 키보드 높이가 너무 높기 때문에 팜레스트 사용이 강제된다는 점이 단점입니다. 그러나 인체공학적으로 각도를 채용했는지 팜레스트만 사용하면 높이감이 적절했습니다. 어느 누가 와서 써도 불편하다고 생각하지 않을 정도로요. 다만 87배열이라서 Insert, Delete, Home, End, PageUp, PageDown 등의 키 배열이 독특하기 때문에 처음 사용 시 적응하기까지 시간이 다소 걸립니다. 콤팩트한 사이즈지만 무게추가 들어있어 무게는 무거운편이며, 이를 의식했는지 사이버보드를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