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라이노3D (10)
Artgineer_기술 배우는 아티스트
수평 줄 자동 분할수직 줄 자동 분할자동 치수 기입을 실행하여 그물 네트 설계 자동화한 동영상입니다.

50*50*30 의 솔리드 1개가 있습니다.이것을 그래스호퍼에 할당하고 이 솔리드의 각 면에서 제일 넓은 면적 1개와 또 다른 솔리드의 제일 넓은 면적 1개의 데이터의 브랜치를 평탄화해 보려고 합니다. 이와 같이 Deconstruct Brep 으로 면을 나눈 후,Face Output에서 Area 로 연결.즉 면들의 면적을 구합니다. {0;0} 이라는 트리 안에 6개(0~5)의 값이 출력됩니다. 그럼 Brep 안에 또 다른 솔리드를 동시에 할당 시키면 어떻게 될까요? 이번엔 20*20*40 솔리드를 추가로 모델링하여 두 개체를 동시에 할당해보았습니다. 브랜치가 {0;0} 와 {0;1} 로 분리되어 데이터가 출력되었습니다. 그럼 여기서 각 브랜치의 각 가장 큰 면을 선별하기 위해서는 sort li..

위와 같은 형태의 네트를 만들려면 몇 초가 소요될까요? 라이노 사용자의 기술에 따라 짧게는 5분~ 길게는 1시간 그 이상 걸릴 수도 있습니다. 안전에 민감하여 디테일한 부품이 쓰이는 어린이 놀이시설이라면 몇 시간이고 충분히 걸릴 수 있죠. 파이프의 외경, 네트를 구성하는 부속품들의 다양한 규격에 따라서요. 그치만 저러한 뼈대를 이루는 커브만을 "단 몇 초" 만에 그려낼 수 있다면 어떨까요. 설계 시간이 대폭 감소됩니다. 설계 시간 감소는 향후 검수하는데에 좀 더 할애 할 수 있기 때문에 설계 시간 단축은 정말 큰 메리트 입니다. 우선 네트를 구성하기 위한 순서는 1. 수평 줄(Horizontal Line)을 만듭니다.2. 수직 줄(Vertical Line)을 만듭니다.3. 안전기준 합격 여부 검토 입..

미술을 한 평생(기억상 5살 때 부터 그림그리기를 좋아했다) 해보았지만 그림도 마찬가지로 처음에 그릴때 그 당시엔 엄청 뿌듯하고 만족스럽다가 몇 년 지나서 보면, 저거 가지고 엄청 뿌듯해하다니 라는 생각이 들면서 이불킥을 하게 되는데 뭐.. 어찌보면 그만큼 내가 그새 성장을 해버렸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겠지. 이건 좀 봐줄만은 한데, 불필요한 파팅라인을 좀 없애고 프레임을 높게 했다면 좋았을 아쉬운 작품. 고스트 큐브를 본따서 팬텀 큐브라는 이름을 지은 내가 디자인 한 큐브. 섞을 때 모양이 달라지기 때문에 색다른 재미가 있다. 처음으로 자동차를 모델링 해보았던 지프 레니게이드. 며칠 걸렸더라... 매일 꼬박 평균 2시간씩 2주는 그렸던 것 같은데. 아직까지도 SubD 모델링을 할 줄은 모르지만 지금 막..

조립매뉴얼, 볼트와 너트 그리고 렌치볼트 조립 부속들. 패키지 디자인까지. 디자인 시안일뿐 실제 이미지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제작 직후에 태엽을 정방향으로 감은 상태. 나쁘지않다. 밸런스휠의 움직임이 절제된듯 하다. 태엽을 역으로 감은 모습. 이게 더 밸런스휠의 움직임이 역동적이고 소리도 일정하다. 설계 수정을 거쳐야할…까?? 어딜 수정해야 밸런스휠이 잘 움직일지 고민중..

기존 프로토타입1에서 스케일 대략 1/2로 수정 완료. M3, M4 유두렌치볼트를 사용했던 프로토타입1과 달리 2는 M2볼트만을 사용합니다. 핀(톱니 회전축 담당)은 1.75mm 필라멘트 그 자체를 사용하도록 설계했습니다. 220*220 베드 3장이면 제품 1개 완성. 이론상 프린터 3대 가동 시 4-5시간에 제품 3개 생산 가능. 이번에 설계를 해 보면서 공차 감각을 체득했습니다. 꽉 끼일 정도(약간의 힘 또는 망치질을 해야 조립 가능한 정도)를 원하면 0.2mm 옵셋,조금은 널널하게 힘을 주지않고 조립을 원한다면 0.25mm 오프셋. 프로토타입 1 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작아져서 사이즈가 귀여워 보입니다. 검정 부품들 한큐에 모두 출력 완료. 제일 노심초사했던 하부바디 출력. 트리가 겁나 많이 붙습니다..

해외 유튜버 Mechanistic의 도면을 참고하여 역설계를 진행하였습니다. 우선 원본도면은 주로 2파이 환봉과 M2 볼트를 사용하여 스케일이 작아 0.4mm노즐로 3d 출력시 품질에 하자가 있을것 같아서 스케일을 M4 볼트 기준으로 2배 가까이 키웠습니다. 스케일을 키우면서 모든 공차와 타공 등을 다시 만지게 되었고 아예 리디자인을 하게 되었네요. 라이노로 대충 설계 완료. 이 부품은 판스프링에 해당하는 부품으로, 원래 없는 부품이지만 직접 설계해보았습니다. 태엽을 감아 에너지를 저장하려는 목적입니다. 출력은 0.4mm 노즐로 진행했습니다. 이건 하부 바디 부품인데 서포트가 많이 달리는 부품이라서 출력실패를 겪고 트리형 서포트로 다시 뽑는 모습입니다. 결과는 성공. 이건 사실 프로토타입1로 만들었던 코..

그래스호퍼로 주사위 게임을 만들어보았습니다. 처음에 알고리즘을 실행하기 위한Button 컴포넌트를 생성합니다.그리고 Heteroptera 라는 애드온 기능인 Seed Generator 컴포넌트와 연결해 줍니다. Button 을 클릭 해보면, 잠깐 임의의 숫자가 생겼다가 사라지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이유는클릭한 상태: True클릭하지 않는 상태: False이기 때문에, 눌렀을 때만 숫자가 생성되는 것입니다. Button 컴포넌트 우클릭 후, T/F 를 서로 바꿔주도록 합니다. 이젠 클릭하면 랜덤시드가 업데이트되고 상시 숫자가 출력되고 있습니다. 그치만 숫자가 너무 크죠??최소값과 최대값을 정해야할듯 합니다. Construct Domain 이라는 컴포넌트를 생성해줍니다. 왼쪽 사진처럼, Pan..

제가 사무실에서 사용하고있는 키보드 "사이버보드 터미널"을 모델링, 렌더링 해보았습니다. 사이버보드 특징은 테슬라 사이버트럭의 외형을 오마주하여 독특한 외관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로써 높이조절 기능이 없는데다가 키보드 높이가 너무 높기 때문에 팜레스트 사용이 강제된다는 점이 단점입니다. 그러나 인체공학적으로 각도를 채용했는지 팜레스트만 사용하면 높이감이 적절했습니다. 어느 누가 와서 써도 불편하다고 생각하지 않을 정도로요. 다만 87배열이라서 Insert, Delete, Home, End, PageUp, PageDown 등의 키 배열이 독특하기 때문에 처음 사용 시 적응하기까지 시간이 다소 걸립니다. 콤팩트한 사이즈지만 무게추가 들어있어 무게는 무거운편이며, 이를 의식했는지 사이버보드를 구..

참고사항 먼저, 이 포스팅은 개인 기록용임을 알립니다. 해당 알고리즘은 제작자가 현재 재직중인 회사에서 개인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업무지시에 의해 제작하진 않았지만 회사의 정보(재산)이 공유될 위험이 있으므로 포스팅 내용에 정보성이 일부 제한적일 수 있으며, 외부로 알고리즘 파일을 절대 배포하지 않습니다. ※ 이 알고리즘은 지식 재산권으로 보호받으며 저작자의 허가를 받은 사람 외에 아래와 같은 행위를 엄금합니다.1. 저작자의 허가를 받지 않은 다른 사람의 복제·전송·배포·개작 등의 이용.2. 외부/타인에게 배포하는 행위.*허가받은 사용자: 저작자로부터 직접 배포받은 사람.*저작자: 홍인표 어린이 놀이시설의 파이프-그물 놀이 자동설계 알고리즘 소개입니다.2023.12.28 V2.0 업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