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3D Printing 🛠️ (13)
Artgineer_기술 배우는 아티스트

아이패드 거치대를 찾다가...단돈 2만원이라도 쓰기 싫어서3d모델링으로 거치대를 만들었다. 애플 유저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애플 제품에 관심이 많지 않아서 다른 모델은 규격 호환이 어떨지 모르겠으나아이패드 6과 애플펜슬1 규격에 맞게 설계했으므로 참고 바람. https://kr.3dexport.com/3dmodel-ipad-stand-with-apple-pencil-558782.htm Ipad stand with apple pencil 무료 3D 모델 in 타블렛 3DExportRoyalty free Ipad stand with apple pencil 무료 3D 모델 by 7MR. Available formats: c4d, max, obj, fbx, ma, blend, 3ds, 3dm, stl - 3DE..

필렛은 일반적으로 오목하거나 볼록한 둥근 모서리를 뜻한다.두 개의 개체가 교차하거나 합쳐질 경우에 필렛 모서리가 있어야 하중 지지 성능이 향상되고, 마찰이나 장력으로 인해 마모되는것을 방지해주는 기능을 한다. 기술적인 부분을 설계하는 데에 선호되는 방식이다. 챔퍼(모따기)는 45도 각도로 절단 되거나 기울여진 모서리를 뜻한다. 챔퍼는 필렛과 마찬가지로 응력을 줄여주는 기능을 하지만, 필렛처럼 응력을 고르게 분산시키지는 못하기에 하중을 지탱하는 부품에는 부적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론 인장 강도와 미적 이유로 필렛 또는 챔퍼를 적용한다. 3D 프린팅에서는 기계 부품이 아닌 이상 보통 Toy를 출력할 때 Chamfering 이 유리하다.FDM 방식에서 레이어를 쌓아오릴 때 수직에서 45도 이상의 각도로 이..

https://tv.kakao.com/v/448890147 이전에 설계하고 제작했던 탈진기 조립영상이다. 구동에 문제가 없어 보이지만 샘플테스트 결과 1/3 정도의 물량에서는 작동에 불량이 있었다. 그 이유는 판스프링이 플라스틱으로 이뤄졌다는 점인데 탄소합금철강에 비해 플라스틱은 탄성이 낮고 내구성이 낮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번에 다시 설계보강 작업을 하려고 한다. 1. 공차 수정. 일부 공차가 너무 헐렁하거나 뻑뻑한 부분이 없는지 검토 2. 판스프링 교체 기존 플라스틱을 탄소합금 판스프링으로 교체, 이에 맞게 제품 규격 수정 3. 매뉴얼 및 패키지 디자인 수정 기존 매뉴얼은 A4용지였는데 유광아트지로 변경하거나 적절한 용지 모색 기존 패키지 디자인 원가문제로 리디자인 예정 확실히 A4용지 매뉴얼은..

처음엔 노즐이 막힌 줄 알고 전면 커버, 팬, 메인보드까지 제거하고 방열판가지 확인해보니 사실상 노즐막힘이 아니라 후면 모터와 직결 된 익스트루더 냉간시 내부에 필라멘트가 부푼 현상 때문이었다. 노즐이 막히면 오히려 뚫는거야 노즐온도를 필라멘트 적정온도로 맞추고 꼬챙이로 뚫어주면 그만인데, 그보다 더 위인 익스트루더에 필라멘트 조각이 끼어있는 경우이다. 이는 우측면 뒷쪽에 위치 한 볼트 한 개를 풀어 후면 팬 커버를 제거하고, 추가 볼트들를 제거하여 익스투르더 어셈블리를 위로 슬라이드해서 탈거하면 된다. 이때 메인보드와 연결 된 단자가 있으니 주의하며 살짝만 뺀다. 그러면 또 드러난 2개의 볼트를 풀어 모터와 익스트루더를 분리하여 수동으로 톱니를 돌리다보면 내부에 부풀은 필라멘트가 보이거나 바로 제거될 ..
이클립스 마크1 조립영상프로토타입 7을 거쳐 만들어진 이클립스mk1 조립영상 입니다. 프로토타입 6까지는 누가 어떻게 조립하느냐 또는 부품의 퀄리티 오차로 인해 작동에 크리티컬한 악영향을 끼쳤었다면출시 확정 모델인 이클립스 마크1은 그 오차를 줄였습니다. 조립 직후의 작동은 온전치만은 않았습니다만, 수 차례 메인스프링을 감았다 풀었다 하며 길들이기를 해주면 점차 밸런스휠의 진동운동이 활발해지는걸 경험할 수 있을겁니다. 간혹 앵커가 따닥! 하고 엇박으로 걸리기도 하는데, 이 점 또한 메인스프링 길들이기를 통해 개선해 나갈 수 있습니다. 메인스프링이 아무래도 금속이아닌 PLA로 선정하다보니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두껍게 설계하여 에너지가 너무 강하게 출력되어 밸런스휠의 움직임에 영향을 주는 것 같습니다. 현재..

W05 부품이 얇고 서포트가 달리는 형태이다보니 베드에 안착하지 못하고 불량이 생기는 현상을 발견했다. 그로인해 W05 부품 설계수정을 하였다. 이렇게 밑면을 평평하게 만들어 서포트를 대폭 줄였다.디자인적으로 밋밋해 보이지 않을까 우려했지만 작은 부품이라서 사소했다. 그리고 판스프링에 해당되는 W07을 수정했다. 수정한 이유는, 2mm 짜리 판재가 말려있는 형태이다보니 얇아서 크랙이 발생하게 되는데이를 절반으로 줄이고자 우측에 보이는것과 같이 두개의 나선형으로 뻗어나가도록 형태를 수정했으며에너지 저장 측면에서 효율을 유지하면서 내구성을 높인 케이스다. 3개의 나선으로 할까하다가, 그렇게하면 각각 선의 길이가 짧아져 오히려 크랙이 더 쉽게 발생할것으로 예상되고태엽을 기존 1바퀴에 못미치기 때문에..

프로토타입 2라고 부르며 설계 수정을 하던 와중.. 어느덧 4번째 샘플 출력이 되었다. 사실상 4번째 프로토타입이다. 조립공차를 거진 완벽에 가깝게 잡았고, 헤어스프링의 고정부 오프셋을 0.2mm에서 0.17mm로 줄였으니 마지막으로 헤어스프링만 교체 테스트 해보면 된다. 태엽이 너무 뻑뻑하여 태엽 상하부 공차를 0.1mm 씩 양쪽으로 늘렸으며 동시에 태엽을 고정시키는 3개의 핀의 각도를 조금씩 벌려서 태엽이 부드럽게 회전되도록 개선했다. 본드고정 일체 없으며 기존 기어들의 축 역할을 해주던 기둥을 1.75mm 필라멘트로 하려 했으나, 제품 공급시 인건비를 줄이고자 이 부품도 프린팅 되도록 하였다. 다만 마음에 걸리는 부분은 M2 렌치볼트를 사용한다는 건데, M2 사이즈가 너무 작아서 조립난이도가 살짝 ..

조립매뉴얼, 볼트와 너트 그리고 렌치볼트 조립 부속들. 패키지 디자인까지. 디자인 시안일뿐 실제 이미지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제작 직후에 태엽을 정방향으로 감은 상태. 나쁘지않다. 밸런스휠의 움직임이 절제된듯 하다. 태엽을 역으로 감은 모습. 이게 더 밸런스휠의 움직임이 역동적이고 소리도 일정하다. 설계 수정을 거쳐야할…까?? 어딜 수정해야 밸런스휠이 잘 움직일지 고민중..

기존 프로토타입1에서 스케일 대략 1/2로 수정 완료. M3, M4 유두렌치볼트를 사용했던 프로토타입1과 달리 2는 M2볼트만을 사용합니다. 핀(톱니 회전축 담당)은 1.75mm 필라멘트 그 자체를 사용하도록 설계했습니다. 220*220 베드 3장이면 제품 1개 완성. 이론상 프린터 3대 가동 시 4-5시간에 제품 3개 생산 가능. 이번에 설계를 해 보면서 공차 감각을 체득했습니다. 꽉 끼일 정도(약간의 힘 또는 망치질을 해야 조립 가능한 정도)를 원하면 0.2mm 옵셋,조금은 널널하게 힘을 주지않고 조립을 원한다면 0.25mm 오프셋. 프로토타입 1 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작아져서 사이즈가 귀여워 보입니다. 검정 부품들 한큐에 모두 출력 완료. 제일 노심초사했던 하부바디 출력. 트리가 겁나 많이 붙습니다..

해외 유튜버 Mechanistic의 도면을 참고하여 역설계를 진행하였습니다. 우선 원본도면은 주로 2파이 환봉과 M2 볼트를 사용하여 스케일이 작아 0.4mm노즐로 3d 출력시 품질에 하자가 있을것 같아서 스케일을 M4 볼트 기준으로 2배 가까이 키웠습니다. 스케일을 키우면서 모든 공차와 타공 등을 다시 만지게 되었고 아예 리디자인을 하게 되었네요. 라이노로 대충 설계 완료. 이 부품은 판스프링에 해당하는 부품으로, 원래 없는 부품이지만 직접 설계해보았습니다. 태엽을 감아 에너지를 저장하려는 목적입니다. 출력은 0.4mm 노즐로 진행했습니다. 이건 하부 바디 부품인데 서포트가 많이 달리는 부품이라서 출력실패를 겪고 트리형 서포트로 다시 뽑는 모습입니다. 결과는 성공. 이건 사실 프로토타입1로 만들었던 코..

베어링 4개와 수많은 볼트 너트로 조립 완성 총 21개 파츠가 들어갔다. 실제로 작동해 보면 처음엔 기어비 등의 이슈로 뻑뻑했지만 지금은 다소 잘 돌아가는 편. 판스프링을 주문해 놨으니. 스프링 오면 태엽을 만들어서 하단부에 연결해줄 예정. 태엽을 감으면 일정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똑딱똑딱하면서 움직이는 장난감이다. 그냥 프린터로 뚝딱 출력해서 조립하면 될 것 같이 간단해 보이지만서도 사실 수 많은 실패와 수정을 거듭하여 만들어졌다. 이와 같이 출력물이 베드에 안착하지 못하여 출력을 실패한 다던가.. 노즐이 막혀서 프린터가 고장이 난다거나.. 위 사진은 헤드를 분해한 모습이다. 노즐이 막혀 필라멘트가 방열판 사이로 새어나온(추측) 모습. 사실 다른거를 뽑다가 발생한 일이지만 이렇게 3d 프린팅을 하다보면 ..

본 gif 캡처본은 얼티메이커 큐라에서 직접 촬영한 것입니다. 노즐 지름 0.2mm인필(infill) 30% 채움무게 약 4g필라멘트 소모 길이 0.54m출력 시간 27min 소요 노즐 지름 0.2mm인필(infill) 50% 채움무게 약 5g필라멘트 소모 길이 0.59m출력 시간 28min 소요 노즐 지름 0.2mm인필(infill) 100% 채움무게 약 5g필라멘트 소모 길이 0.68m출력 시간 36min 소요 인필값은 무게와 출력시간에 큰 영향을 주지만서도 제일 중요한것은 강도일것이다.출력하고자하는 부품이 기어류나 볼트 너트류일 경우 내구성이 튼튼해야할 것이므로 내부를 필라멘트로 100% 채우는 것이 좋겠다. 사실 가벼운 장난감 따위를 만드는 데에는 30%만 채워도 문제는 없다.100% 채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