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gineer_기술 배우는 아티스트

[금은비 차트] 실버 스퀴즈 본문

Invest&Economy 📈

[금은비 차트] 실버 스퀴즈

인표몬 2025. 4. 17. 17:53
반응형

다들 투자 철학은 어떠신가요?

무릎에서 사서 어깨에서 판다?

저는 결코 일반인들이 무릎에서 사기란 어렵다고 봅니다.

어떠한 투자자산이 무릎에 있다는 것은 대중들의 눈 밖에 나 있는.

소외된 자산이기 때문입니다.

현실에선 "xxx가 엄청 올랐대.", "나도 사볼까?" 하는 순간 이미 무릎 한참 위인 겁니다.

 

그래서 늘 개미들은 자칫하다가 어깨에서 사서 머리에서 물리곤 합니다.

 

지금 금은 역대 최고가를 연달아 갱신하며 작년만 해도 1트로이온스당 2400달러를 넘었다고 난리난리 치더만

올해 벌써 3300달러를 넘어섰습니다.

 

제가 3년 전 부터 실물 금과 은 투자를 엄청 강조해왔는데, 그때도 늦은감이 있었으나 수익률로 말하자면 금은 100%가 넘었고 은은 70% 정도입니다.

 

사실 은도 90%까지 올랐다가 최근 금의 프리미엄 빠짐으로 은이 더 충격을 받고 급락했는데요, 지금이 기회입니다.

 

다음 차트에서 보시죠

금은 1트로이온스당 3,364달러 / 은은 1트로이온스당 32.9달러

 

네이버페이증권 국제금시세 1트로이온스당 3,364달러,

국제은시세 1트로이온스당 32.9달러 입니다.

 

금은비는 현재 1:102 입니다.

 

역사적으로 금은비는 1:10 ~ 1:80. 범위가 너무할 정도로 넓긴 하지만 그래도 1:50을 적정가로 보는 전문가들이 몇 있습니다. 20세기 이후 가장 오랜기간 수렴한 금은비가 1:50 정도가 되기도 하구요. (20세기 이전은 1:15 정도..)

 

그래도 21세기 동안에는 1:60 ~ 1:80 정도였는데 지금 현재 롸잇나우는 1:102 입니다.

 

그리고 다음 차트를 보시죠

 

 

 

얼마 전 금의 급락을 은이 모방하는데 더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그리고 다시 회복세를 모방하는 중인데요,

최근 하락장에서 은의 저점이 사실상 2020~2021년에 해당하는 전고점입니다.

 

1980년대 헌트형제 사건, 그리고 2011년에 은은 1트로이온스당 50달러에 육박,

그리고 현재 32달러.

 

이제와서 귀금속 투자에 관심이 생겼다면

지금 금을 사는것도 아직 충분히 좋습니다. 상승 기류를 이제 막 탑승한 거거든요.

막차라도 타면 다행이지, 잔치 끝나고 도착하는 것 보단 낫거든요.

혹시 좀 더 공격적으로 하시길 원하신다면 금보다는 은이 더 매력적입니다. 아직 탑승기회가 남아있습니다.

 

금의 수요 대부분은 주얼리에 못미치지만

은의 수요 대부분은 산업수요입니다. 그리고 금 광은있어도 은광은 없습니다. 금을 채굴하면서 부산물로 나오기 때문에

별도의 은의 공급량만을 늘릴 수 없는 구조입니다.

그렇기에 결국 금보다 은의 공급이 더 어렵고 수요도 많아서 금보다 상승폭이 더 클것이고, 반대로 하락폭도 더 큽니다.

최근에 하락을 크게 맞이했고 금은비가 1:102 라는 점을 참고해 본다면

 

결론

1. 지금 귀금속 투자에 들어간다면 금보다는 은이 더 매력적이다.

2. 금은 역사적인 최고가를 갱신했고, 은은 아직 1980년대 역대최고가를 넘지 못한 상태이다.

 

라고 말 할 수 있겠습니다.

 

좌: 금의 역사상 가격 차트. / 우: 은의 역사상 가격 차트.

 

728x90